반응형

발로란트 일본 서버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한국 계정이 아닌 일본 계정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데

일본 계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본 아이피가 필요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VPN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피를 일본으로 우회해 계정을 만들고 있으며

처음 일본 계정을 만들고 나면 그 뒤로는 아이피를 우회할 필요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한국 발로란트 프로그램에서 해당 계정으로 접속하면 언제든 일본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한국 서버에서 하려면 기존에 사용하던 한국 계정으로 접속하면 된다.)

아무 VPN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되니 이미 VPN 프로그램이 있다면 VPN 설치 실행 방법은 건너뛰어도 된다.

 

VPN 프로그램 설치 방법

 

필자가 사용한 무료 VPN 프로그램은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s://www.vpngate.net/

 

VPN Gate - Public Free VPN Cloud by Univ of Tsukuba, Japan

Follow @vpngate Free Access to World Knowledge Beyond Government's Firewall. Your IP: 27.0.238.116Your country: Korea Republic ofLet's change your IP address by using VPN Gate! Cumulative: 18,550,380,466 connections, Traffic: 737,741.95 TB. Recent VPN acti

www.vpngate.net

 

 

1. 사이트 메인 화면의 상단 [Download] - [Download VPN Gate Client] 클릭

 

 

 

2. Download 페이지에서 최신 Client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3. 프로그램 다운 로드 후 압축 해제 하여 아래 설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다음 버튼 클릭

 

SoftEther VPN Client 클릭 후 다음 버튼 클릭

 

License 동의 체크 후 다음 버튼 클릭

 

다음 버튼 클릭

 

Advanced Install Options for Experts(전문가를 위한 고급 설치 옵션) 체크 해제 후 다음 버튼 클릭

 

다음 버튼 클릭

 

설치 진행 중

 

VPN 클라이언트 실행 체크 후 마침 버튼 클릭

 

 

4. 프로그램 실행 후 아래 순서에 따라 Japan 아이피로 우회한다.

VPN Gate Public VPN Relay Servers를 더블 클릭

 

여러 호스트 중 Region(지역) - Japan 을 클릭 후 Connect to the VPN Server 버튼 클릭

 

Use UDP Protocol 클릭 후 OK 버튼 클릭

 

 

위 사진과 같이 Connected가 뜨면 일본 아이피로 우회가 완료된다.

아이피 우회는 다음 항목인 일본 계정을 만들고 난 뒤에 Disconnect 하면 된다.

(접속 해제 방법은 항목 6에 설명)

또한 일본 계정을 만들고 난 뒤엔 VPN으로 아이피 우회 접속할 필요가 없어

사용할 일이 없다면 VPN 프로그램은 삭제해도 무방하다.

 

 

5. 발로란트 일본 공식 사이트로 접속하여 아래의 순서에 따라 계정을 생성한다.

 

발로란트 일본 서버 홈페이지

https://playvalorant.com/ja-jp/

 

VALORANT

"新たな戦いの舞台がライアットゲームズから登場。『VALORANT』はキャラクター要素と競技性を備えた5v5の対戦型タクティカルFPSです。精確なガンプレイとキャラクター固有の能力が融合する

playvalorant.com

우측 상단의 PLAY NOW 클릭

 

왼쪽의 계정 만들기 버튼 클릭

 

계정 이메일 주소 입력

 

생년월일 입력(대충 성인 생년월일로 만들어도 무관하다)

 

게임에서 사용할 아이디를 입력

 

비밀번호는 문자, 숫자, 기호 중 2가지 이상을 섞어 8자 이상으로 만든다.

 

약관 동의 후 버튼 클릭

 

홈페이지 우측 상단이 위와 같이 접속이 됐다면 계정 생성 완료

 

 위와같이 해당 계정은 국가/지역이 JPN(JAPAN)으로 되어있다.

 

 

6. 계정을 만들었다면 아이피 우회 접속은 해제(Disconnect) 한다.

 

마우스 우클릭 - Disconnect 하면 우회 접속이 해제된다.

 

 

7. 기존에 라이엇 클라이언트에 로그인이 되어 있다면 로그아웃 후 위에서 생성한 계정으로 접속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특정 단어, 혹은 문장을 입력하면 AI가 알아서 비슷한 그림을 만들어주는 사이트를 모아봤습니다.

이 중,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가 많으며 해외 사이트인 만큼

영어로 키워드를 만드는게 좀 더 정확한 결과물을 얻을수 있습니다.

 

 

1. Deep Dream Generator:
원하는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AI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딥 드림"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웹 사이트: https://deepdreamgenerator.com/

 

Trending Dreams | Deep Dream Generator

Dream Level: is increased each time when you "Go Deeper" into the dream. Each new level is harder to achieve and takes more iterations than the one before. Rare Deep Dream: is any dream which went deeper than level 6.

deepdreamgenerator.com

 


2. Runway ML:
다양한 예술적인 모델을 탐색하고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여러 종류의 AI 예술 생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 사이트: https://runwayml.com/

 

Runway - Advancing creativit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unway is an applied AI research company shaping the next era of art, entertainment and human creativity.

runwayml.com

 


3. Artbreeder:
여러 이미지를 결합하고 섞어서 새로운 예술적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웹 사이트: https://www.artbreeder.com/

 

Artbreeder

A collaborative tool for creating images with AI.

www.artbreeder.com

 


4. DALL-E by OpenAI:
OpenAI에서 개발한 DALL-E는 원하는 텍스트 설명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델입니다. 하지만 이는 OpenAI의 라이브러리로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OpenAI의 API를 통해 이용 가능합니다.
OpenAI 웹 사이트: https://openai.com/

 

OpenAI

Creating safe AGI that benefits all of humanity

openai.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위 사진과 같이 문서의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하듯 각각의 독립된 구역을 만들어 주는걸 '단'이라고 한다.

물론 한글 프로그램에서 단 나누기는 문서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좋은 기능이지만 막상 사용하려면 헷갈리고 어렵다.

단 나누기는 쉽게 딱 두개의 단축키만 기억하고 있으면 된다.

바로 Ctrl+Shift+엔터(단 나누기)와 Ctrl+Alt+엔터(다단 설정 나누기)이다.

아래 설명을 통해 실습해보도록 하겠다.

단을 나누는 법은 상위 메뉴 [쪽] 탭의 구역에 단을 클릭하면 단의 갯수와 왼쪽 오른쪽을 정할수 있다.

 

[단] - [둘] 을 클릭해보면 아래 사진처럼 단이 바로 적용되는걸 볼수있다. (예시에선 단의 구분을 육안으로 보여주기위해 파란색 경계선을 표시했다. 파란색 경계선을 기준으로 단이 나누어져 있으며 실제론 아무것도 표시가 안된다)

위처럼 단을 나누면 경계선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독립된 구역이 생긴다.

 

그럼 왼쪽 글을 쓰고 다음 단으로 넘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왼쪽 글을 쓰고 엔터를 쳐도. 오른쪽 단을 마우스로 클릭해도 아래 사진처럼 넘어가지 않는다.

엔터를 쳐도 오른쪽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물론 커서로 오른쪽을 눌러도 마찬가지.
결국 한페이지를 넘겨야 오른쪽 구역으로 넘어간다.

 

결국 사용하는 법을 모르면 저렇게 한페이지를 넘겨 왼쪽 구역에서 오른쪽 구역으로 넘어가곤한다.

여기서 '엔터를 쳐서 한 페이지를 넘기니까 다음 구역으로 넘어간다?'를 주목해야 한다.

즉, 단의 구분은 '페이지 단위' 라 생각하면 쉽게 설명이 된다.(정확히 말하면 구역을 나누는거지만..)

 

처음 설명했듯 '단'은 각각의 독립된 구역을 만든다고 했다.

단 나누기를 하면 위 사진처럼 각각 독립된 페이지를 갖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자 그럼 왼쪽 구역에서 글을 작성하고 단축키 Ctrl+Shift+엔터를 쳐보자.

그럼 커서가 왼쪽 구역에서 오른쪽 구역으로 이동하는걸 알수있다.

Ctrl+Shift+엔터를 치면 단의 구역을 이동할수있다.

 

이제 우리는 Ctrl+Shift+엔터를 통해 '단의 다음 구역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익혔다.

자 이제 단 아래에 또 다른 단을 사용하려면? 위에서 말한 2페이지 구역에서 3페이지 구역으로 넘어가기 위해 또 Ctrl+Shift+엔터를 쳐보니

이번엔 오른쪽에서 아래로만 줄 이동할뿐 넘어가질 않는다..

그럼 이번엔 단축키 Ctrl+Alt+엔터를 쳐보자.

텍스트 '다단 2단' 뒤에서 Ctrl+Alt+엔터를 치면 해당 단을 종료하고 아래줄에 새로운 단이 생성된다

위 사진의 경계선을 보면 알겠지만 위쪽 단과 아래쪽 단이 각각 생성돼 있는걸 알수있다.

이제 Ctrl+Shift+엔터(단 나누기)와 Ctrl+Alt+엔터(다단 설정 나누기)로

단에서 다음 구역으로 이동하는 방법과 단을 종료하고 다음 줄로 넘어가는 법을 배웠다.

 

Ctrl+Alt+엔터(다단 설정 나누기)를 치면 다음 줄에 새로운 단이 생성되지만 만약 다음 줄은 단 없이 긴 장문을 이어서 쓰고 싶다면? 그럼 그냥 단을 다시 하나로 되돌리면 된다.

이처럼 Ctrl+Alt+엔터를 하면 다음 줄로는 넘어가지만 단이 해제되진 않는다.
단을 해제하려면 [단]을 다시 하나로 만들면 된다.
그럼 이처럼 여러개의 단과 단을 해제할수 있다.

 

[단] 메뉴에 있는 둘, 셋, 왼쪽, 오른쪽은 아래 사진과 같다. 경계선을 구분으로 이해하면 쉽다.

 

다음 게시글에선 단 나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배워보도록 하겠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한글에 삽입된 여러개의 도형이나 사진, 텍스트 박스 등. 여러 개체를 한번에 선택해야 할 때가 있다.

물론 Shift+왼쪽마우스클릭으로 여러 개체를 선택할수 있지만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

(특히 텍스트 박스의 경우 텍스트가 아닌 개체의 테두리를 클릭해야 선택이 되기때문에 겹쳐 있을 경우 선택하기 어렵다)

이럴땐 방법이 있다.

 

상단 메뉴의 [편집] 탭 - [개체 선택] 을 클릭하고

선택할 개체가 안으로 들어오도록 드래그 하면 된다.

위 사진처럼 빨간 테두리만큼 드래그 하면 빨간 테두리 안의 개체는 모두 선택이 된다.

 

만약 위 빨간 테두리만큼 드래그하여 선택하면 [텍스트 2] 텍스트 박스는 선택이 안된다.

 

위의 방법으로 다중 선택 후엔 반드시 활성화 되어 있는 개체 선택을 해제 해줘야한다.

활성화 상태

728x90
반응형
반응형

위처럼 글과 글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스페이스로 간격을 맞추려고 하면

간격이 동일하지 않아 보기가 좋지 않다.

이런 경우엔 스페이스 대신 [Tab]키를 클릭하면 모든 글의 띄어쓰기의 간격이 일정하게 맞춰진다.

[Tab] 키를 이용하면 간격을 동일하게 맞출수 있다.

 

[Tab]키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는 값이 40pt기 때문에 간격이 너무 멀면

아래의 방법으로 [Tab]의 띄어쓰기 간격을 설정할수 있다.

 

상단 메뉴바의 [편집] - [문단 모양]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Alt+T' 클릭하면 아래의 문단 모양 창이 뜬다.

 

문단 모양 창의 [탭 설정]을 클릭하면

 

기본 탭의 변경 버튼을 누르면 아래의 창에서 구역 기본 탭 간격을 조정할수 있다.

 

해당 설정 값을 조정하면 탭키 띄어쓰기 간격을 조정할수 있다.

 

기본 탭 간격의 설정 값은 10.0pt ~ 425.2 pt 사이의 값에서 설정할수 있기때문에

본인이 원하는 탭 간격을 설정해서 사용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한글 2010으로 문서 작업을 하다 보면

수식을 입력할 때가 있는데,

상단 메뉴바 [입력] - [수식] 아이콘을 클릭하면 수식 편집기 창이 뜬다

 

수식 편집기에 특정 텍스트를 입력할때

그게 수식 명령어에 등록되어 있는 단어라면 수식으로 자동 변환이 된다.

예를 들어 수식 편집기에 'in'이란 텍스트를 넣으면 '∈'이란 수식으로 자동 변경된다.

이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한 기능이지만 간혹 그냥 텍스트 그대로 넣어야 할 때가 있다.

수식 편집기에 A=in을 입력하면
텍스트 in 은 ∈로 자동 변경된다.

물론 예제에는 'in'만 작성했지만 이것 말고도 많은 수식 명령어가 있다.

만약, 'in' 그대로 표기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자동 변경하고 싶지 않은 텍스트를 큰 따옴표(" ") 안에 입력하면 된다.

이를 escape문자라고 하는데 큰 따옴표 안에 있는 문자는 수식 명령어가 아닌 일반적인 텍스트로 인식하게 된다.

큰 따옴표 안의 문자는 텍스트 그대로 표기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회사 업무를 하다보면 자주는 아니지만 간혹 해외 문서를 번역, 혹은 한글로 된 문서를 영어로 작성해야 할 때가 있다.

필자의 경우 번역 사이트로 구글이나 파파고 등을 이용하는데

번역할 문장을 최소한 2~3개의 번역 사이트에 돌려서 나온 번역 결과를 확인하고 작성하는게 여간 귀찮은게 아니었다.

그때마다 '이런 번역기를 한 곳에 모아놓은 사이트가 없나?' 하고 생각했는데..

역시 내가 생각한건 더 머리 좋은 누군가가 먼저 생각한 법.

검색해보니 그런 사이트가 이미 존재했다.

 

아래는 그 사이트이다.

https://translators.to/

 

번역기들

다양한 번역기들을 동시에 이용하고 비교해보세요. 구글, 카카오, 파파고, 빙, 왓슨, 얀덱스, 시스트란, 바이두, 유다오, 소우거우, 텐센트, 알리바바 번역을 지원합니다.

translators.to

 

메인 화면의 모습.

 

위처럼 오른쪽에 각종 번역 사이트의 결과 값이 표시된다. 보다시피 각 번역 사이트 마다 번역도 다르고 오역도 많아서 여러 번역기로 돌려 문장을 분석, 취합하여 사용하는게 좋다.

 

왼쪽에 번역할 문장을 입력하고 [번역하기]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에 각종 번역기에서 나온 결과물이 나온다.

번역기를 개별적으로 숨길수도, 위치를 옮길수도 있어서 내가 자주 이용하던 번역기만 보면서 번역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인터넷을 하다 보면 가끔 한글 문서 파일인 HWP, HWPX 파일을 보거나 MS Office 문서 파일을 봐야 할 일이 있다.

그럴 때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문서 파일을 보거나 수정하고 싶다면 폴라리스 오피스 웹을 이용하면 된다.

 

1. https://www.polarisoffice.com/ko/ 에 접속한 뒤, 웹-개인용 버튼 클릭

2. 문서 파일 형식에 따라 HWP, HWPX 파일의 경우 웹 한글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MS Office는 웹 시트 바로가기 클릭)

3. 다음 화면에서 열어볼 HWP, HWPX 문서 파일을 끌어오면 확인할 수 있다.

 

작성 및 수정도 할수 있으며 작성, 수정 후엔 반드시 오른쪽 상단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저장할 수도 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최근에 컴퓨터 포맷을 하여 윈도우를 새로 깔았다.

그런데 음?예전엔 폴더에서 [보기]-[큰 아이콘]으로 하면 사진 미리 보기가 됐던 거 같은데?

큰 아이콘으로 바꿔도 사진 미리보기가 안된다...

 

이럴 땐 당황하지 말고 다음과 같이 진행하면 된다.

- 탐색기 메뉴바에서 [보기] 클릭

 

- [옵션] 버튼 클릭

 

-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 클릭

 

- 폴더 옵션 창이 뜨면 메뉴에서 [보기] 탭 클릭 후 [고급 설정] 리스트에서 [아이콘은 항상 표시하고 미리 보기는 표시하지 않음]을 찾아 활성화 돼있는 V 체크를

 

- 위 화면과 같이 체크 해제 후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 미리 보기가 활성화된다.

 

아마도 공용 피씨에서의 개인정보 보호때문에 비 활성화 된듯하니 개인 피씨에서 사진 미리 보기를 활성화하고 싶다면 위 방법으로 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