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근을 부르는 Excel' 카테고리의 글 목록 :: 영혼이 쉬어가는 그늘
728x90

이전 버전(v1.0) 달력 스케줄러 바로가기

https://soul-rests.tistory.com/80

 

2025년 엑셀 개인 일정 관리 달력 스케줄러_v1.0 무료 양식 배포

안녕하세요. 다들 2024년 마무리를 잘 하고 계신가요? 2024년엔 개인 일정 관리를 다들 어떻게 하셨나요. 다이어리에 적거나 달력에 표시하는 등 많은 방법을 사용하셨겠지만 저같은 경우엔 직

soul-rests.tistory.com


 

안녕하세요~어느덧 스케줄러 1.0 버전을 올린 게 두 달이나 지났네요.

 

많은 분들이 다운 받아주시고 감사 댓글도 많이 달아주셔서 만든 노력이 보상받는 느낌^^

 

(앞으로도 부족한 능력이지만 유료로 구매하는 양식들보다 더 고품질의 자료를 제공하도록

꾸준히 새로운 자료, 업데이트 할 예정이니 구독해 놓으시면 좋을지도..?ㅎㅎ)

 

그래서 드!디!어! 달력 스케줄러가 1.1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됐습니다 ㅎㅎ

 

v1.1의 주요 업데이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디자인 수정

2. 달력 날짜 입력 방식 변경

3. 일정 관리 기능 다수 추가

4. 시트 세부 일정 삭제 기능 추가

5. 프린트 버튼 추가

 

이제 평생 이 스케줄러 하나로 모든 일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파일은 맨 아래에서 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스케줄러 사용법과 주요 기능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존 틀은 유지하고 전체적인 디자인을 변경하였습니다.

엑셀 2016 버전에서 작성하였으며(하위 버전에선 일부 기능이 동작을 안 할 수도 있습니다..ㅠㅠ)

해당 버전은 디스플레이 해상도 1920x1080일 때,

엑셀 [보기] 탭의 '수식 입력줄'과 '머리글'을 체크 해제, 리본 메뉴를 축소하시거나

엑셀을 85%로 축소하시면 화면에 딱 들어맞도록 만들었습니다.

 

수식 입력줄, 머리글 체크 해제, 리본 메뉴 축소 시 달력 화면

 

또한 해당 파일은 VBA를 사용하므로 반드시 [콘텐츠 사용] 버튼을 눌러야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제 블로그의 파일은 많은 분들이 무료로 이용하길 바라고 만든 것이니

절대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은 금지하며,

수식 변경 및 셀 변경으로 인해 기능 동작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는 잠금 되어 있습니다.

개인 사용 용도로만 수정 및 공부하실 분에 한해서 댓글을 달아주시면

잠금 해제 비밀번호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메인 화면 설명

 

1. 달력 시트

 

① 현재 선택한 월의 달력 및 오늘 날짜 미니바, 이전 달 미니 달력, 다음 달 미니 달력 표기 및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

     * 변경된 점 : 디자인 변경과 오늘 날짜 표기 및 이제 미니 달력에도 공휴일이 표기됩니다. 이후 설명

② 현재 달력 프린트, 시트 잠금 해제, 시트 잠금, 달력 설정 바로 가기 아이콘

     * 변경된 점 : 프린트 버튼을 추가. 이제 달력을 프린트할 수 있습니다. 이후 설명

③ 월별 바로가기 버튼

④ 일정 입력 셀

    * 변경된 점 : 셀 추가 및 일정 관리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후 설명

⑤ 일정 배경색 및 기념일 지정, 취소선 및 일정 삭제 버튼 모음

    * 변경된 점 : 배경색 변경 가능 색상 추가 및 기념일 등록 등의 기능 추가. 이후 설명

⑥ Do It List 입력 셀

    * 변경된 점 : 칸을 추가하였습니다.

⑦ MEMO 입력 셀

    * 변경된 점 : 칸 추가 및 날짜 메모란을 추가하였습니다.

⑧ Check Point 입력 셀

    * 변경된 점 : 월별 Check Point 셀이 추가되었습니다.

 

 

2. 설정 시트

 

① 달력 연도 설정 버튼

    * 변경된 점 : 기존 버전은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만들어 연도의 모든 날짜에 적용하는 방식이라 수식이 과도하게 들어가 

               엑셀이 버벅거림을 발견하여... 모든 날짜를 메크로로 입력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이후 설명

② 월별 표기 설정

③ 현재 스케줄러의 버전 표기

④ 공휴일 설정

⑤ 반복 스케줄 설정표

    * 변경된 점 : 매주 반복되는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후 설명

⑥ 사이트 바로가기 설정

    * 변경된 점 : 달력 시트의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 시, 열리는 인터넷 주소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후 설명

⑦ 기념일 아이콘 설정

    * 변경된 점 : 달력에 기념일 설정 시 내용 앞에 붙는 아이콘을 추가하였습니다. 이후 설명

⑧ 시트 잠금 및 해제. 달력 초기화 버튼

    * 변경된 점 : 이제 설정 시트에서 시트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으며 달력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이후 설명

⑨ 달력 바로가기 버튼

    * 변경된 점 : 이제 설정 시트에서 달력 바로가기 버튼을 눌러 해당 월 시트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설명

 

1. 달력 연도 설정 기능

 

[달력 설정] 시트의 [연도 설정]을 통해 설정한 연도의 달력으로 변경됩니다.

 

기능 사용 방법

1. 우선, 연도를 변경하기 위해선 시트 잠금을 해제해야 합니다.

2. 시트 잠금 해제 후, 변경할 연도를 작성 후 [ⓥ] 버튼을 누르면 각 시트의 날짜가 해당 연도에 맞게 변경됩니다.

연도 설정 시, 설정에 시간이 약간 소요되며 현재 진행 상황을 로딩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변경 완료 후, 기존 셀의 내용을 초기화하는 메시지가 뜹니다.

초기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후 11번 항목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아니요]를 누르면 이전에 작성한 일정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2. 달력 월별 표기 설정 기능

 

 

[달력 설정] 시트의 [월별 표기 설정]을 통해 월별 표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공휴일 설정 기능

 

 

[달력 설정] 시트의 [공휴일 설정]을 통해 해당 날짜에 공휴일 표기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휴일은 미니 달력에도 표기가 됩니다.

* 스케줄러 사용 시, 사용할 연도의 이전 연도 12월, 다음 연도 1월의 공휴일을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4. 오늘 날짜 표기 기능

 

 

미니바와 달력의 날짜에 오늘 날짜가 표기됩니다.

 

 

5. 주간 반복 스케줄 등록 기능

 

 

[달력 설정] 시트의 [주요 반복 스케줄]을 통해 '주' 단위로 반복되는 일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달력의 공휴일 내용이 표기되는 셀의 아래 셀에 '【 내용 】' 으로 표기가 되며,

하루에 한 개의 반복 일정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반복 스케줄이 없을 시, 해당 셀도 자유롭게 일정을 적을 수 있으나,

  반복 스케줄을 등록할 때, 해당 셀에 작성해놓은 일정은 삭제가 되고 반복 스케줄이 등록되므로 주의 바랍니다.

 

기능 사용 방법

1. 반복 일정을 등록할 기간(시작일~종료일)을 작성 후, 반복할 요일을 선택

   * 이때 종료일이 없거나, 종료일이 시작일의 이전 날짜에 있으면 붉은색으로 표기됩니다.

2. 반복 일정을 강조할 배경색을 선택 후, 내용을 작성 한 뒤 [ⓥ] 버튼을 누르면 등록이 됩니다.

   * 여러 개의 일정 등록 시, 겹치는 일정이 있으면 에러메시지가 뜹니다.(하루 한 개의 반복 일정 등록 가능)

※ 반복 스케줄의 색상은 아래의 예시와 같습니다.

※ 반복 스케줄을 삭제하려면 삭제할 반복 일정을 선택 후, 위젯의 [셀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삭제됩니다.

 

 

6. 사이트 및 시트 바로가기 기능

 

[달력 설정] 시트의 [사이트 바로가기 설정]에 사이트 주소를 설정하면

달력 좌측 상단 아이콘을 통해 해당 인터넷 사이트가 열립니다.

또한 상단의 버튼을 통해 해당 [월의 시트], [달력 설정] 시트로 이동합니다.

 

 

7. 달력 프린트 기능

 

달력 상단의 프린트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월의 달력을 프린트할 수 있습니다.

* 이때, 불필요한 요소는 프린트되지 않습니다. 

 

 

8. 일정 배경색 변경/삭제 및 일정 취소선 삽입/삭제 기능

 

일정을 선택 후, [일정 배경색 변경] 버튼을 통해 셀의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으며,

[ X ] 버튼을 눌러 선택한 일정의 배경색을 지울 수도 있습니다.

[취소선]의 버튼을 통해 일정에 취소선을 표시할 수 있으며 취소선을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 해당 기능은 달력의 일반 스케줄 입력 셀에서만 동작합니다.(아래 그림 참조)

 

 

9. 기념일 강조 기능

 

[달력 설정] 시트의 [아이콘 설정]에 총 10개의 특수 문자를 등록할 수 있으며, (원하는 특수문자 변경 가능)

이는 달력의 위젯 [기념일 지정]의 버튼에 표기됩니다.

* 그림 형식의 문자는 '유니코드'이며 유니코드의 일부는 위젯에 컬러로 표기되나 실제 등록은 흑백으로 등록됩니다.

   그림 형식의 유니코드 등록 시, 반드시 다른 엑셀 시트에 유니코드를 입력 후 복사하여 '값'을 붙여 넣기 해야 합니다.

 

기능 사용 방법

1. 기념일로 지정할 셀을 클릭 후

2. [기념일 지정]의 아이콘 버튼을 누르면 일정의 앞에 아이콘이 추가되며 해당 일정은 배경색이 '노란색'으로 표기됩니다.

* 위에서 언급한 대로 공휴일의 아래 셀도 일정 등록이 가능하나. 반복 스케줄 등록 시 기존 일정은 삭제됩니다.(아래 그림 참조)

* 또한 배경색이 지정된 일정을 기념일로 지정하면 배경색이 '노란색'으로 우선 표기됩니다.(아래 그림 참조)

 

 

10. Do It List, MEMO, Check Point 입력 셀

 

달력의 일정뿐 아니라 Do It List 입력 셀, MEMO 입력 셀, Check Point 입력 셀에 자유롭게 일정 및 목표, 중요한 내용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Do It List의 입력 셀 앞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해당 내용에 취소선이 추가됩니다.

 

 

11. 일정 초기화 기능

 

[달력 설정] 시트의 [연도 설정]을 통해 연도를 변경하거나, [달력 설정] 시트의 상단 초기화 아이콘을 통해

기존에 작성한 일정의 원하는 내용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기능 사용 방법

1. 연도 변경 후 메시지 창에서 [예]를 누르거나 [달력 설정] 시트의 상단에 있는 초기화 아이콘을 클릭.

2. 초기화 창에서 초기화할 시트와 각 시트에서 삭제할 데이터 범위를 선택 후, [초기화 시작] 버튼을 클릭.

3. 확인 메시지 창의 텍스트 상자에 'yes'를 입력 후 [확인] 버튼 클릭하면 설정한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 데이터 삭제가 진행되면 어떤 방법으로도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확인 메시지 창을 추가하였습니다.

 

 

이상 1.1 버전 스케줄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이전 버전을 사용하며 필요한 기능을 하나씩 추가, 수정하다 보니 많은 게 변경되었네요^^;;

혹시 해당 파일에 필요한 기능 및 필요한 다른 자료를 댓글로 적어주시면 다음 업데이트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당부드리지만...

무료로 제작해서 배포하는 만큼 해당 게시글의 링크를 공유하는 것은 가능하나

상업적인 이용은 절대 삼가 바라며, 개인이 따로 블로그나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것 또한 절대 금지합니다 ㅠㅠ

 

 

 

예제 파일과 주의 사항
[영혼이 쉬어가는 그늘] 만년 개인 일정 관리 달력 스케줄러_v1.1.xlsm
0.47MB

▲ 예제 파일 

 

해당 파일은 매크로 사용 워크시트(.xlsm) 파일이므로 처음 실행 시,

콘텐츠 사용 버튼을 눌러야 매크로가 정상 동작합니다.

 

 

 

 

728x90
728x90

생산 업무 혹은 품질 업무를 하는 분들께 필요할 수도 있는 엑셀 프로그램을 배포합니다.

 

과거 대기업계열 회사에 다닐때 쓰던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을 엑셀화 시킨것으로

 

수많은 엑셀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취합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주로 결과값이 숫자로 이루어진(문자 취합도 가능은 합니다) 데이터를

 

하나의 엑셀 파일로 보기 쉽게 취합하고 싶을때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주요 기능 및 사용방법은 아래의 설명과 같습니다.

 

 

메인 화면 입니다.

엑셀 2016버전에서 작성하였으며(하위 버전에선 일부 기능이 동작을 안 할 수도 있습니다..ㅠㅠ)

취합할 수 있는 파일의 갯수는 한정이 없으나 '구분' 항목에 포함되는 취합할수 있는 데이터의 갯수는

엑셀 버전에 따라 256개~16,384개 입니다.

(엑셀이 제공하는 열의 최대 갯수를 넘을 수 없습니다)

 

또한 해당 파일은 VBA를 사용하므로 반드시 [콘텐츠 사용] 버튼을 눌러야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프로그램 사용 방법

위 사진과 같이 데이터가 동일한 셀 위치에 있는 엑셀 파일이 여러 개 있고

이 데이터들을 하나의 엑셀 파일에 보기 쉽게 취합을 하려 합니다.

 

1. [Main] 시트의 표에 프로젝트명과 취합할 데이터가 있는 셀의 구분, 하한값, 상한값, 시트명, 셀의 위치값을 작성합니다. 

여기서 하한값과 상한값은 작성을 하지 않아도 무관하나,

프로젝트명, 구분, 시트명, 셀 위치는 반드시 작성을 하셔야 합니다.

(이후 결과 시트에서 하한값~상한값을 벗어난 데이터 값은 Spec Out 처리합니다)

 

 

2. Main 표의 내용을 모두 작성하였으면 [취합하기] 버튼을 눌러 취합할 엑셀 파일이 있는 폴더를 선택하여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3. 데이터 취합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 창이 뜨며, 결과 파일은 위의 경로의 DATA 폴더 내에 저장되며 파일 저장명은 "오늘 날짜_현재 시간" 입니다.

 

 

결과

취합된 데이터 화면입니다.

선택한 폴더 내의 모든 엑셀 파일의 데이터가 취합되며

데이터의 평균값, 최대값(Max)과 최소값(Min), 표준편차와 Cpk가 표기됩니다.

또한, Spec Out은 Main 시트에서 작성한 하한값과 상한값을 벗어난 데이터의 수가 표기되며

그 갯수를 카운트합니다.

 


 

주요 기능 1. 진행 상황 표기 기능

 

 파일 취합이 얼마나 진행되고 있는지 실시간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요 기능 2. 프로젝트 저장 및 불러오기 기능

 

상단의 버튼을 통해 작성한 프로젝트를 저장 및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버튼을 누르면 해당 프로젝트가 저장되며,

프로그램이 있는 폴더의 [Project] 폴더내에 '프로젝트명.CSV'으로 저장됩니다.

 

 

저장 된 프로젝트 파일을 불러올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파일은 무료로 제작해서 배포하는 만큼 절대 상업적인 이용은 삼가바랍니다..ㅠㅠ

또한, 'VBA 코드'가 잠금된 상태입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실 분에 한해 사용된 코드를 공부 및 수정해 사용하실 분에 한해서

댓글을 남겨주시면 해제 비밀번호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운로드 파일과 주의 사항
[영혼이 쉬어가는 그늘] 시험 성적서 취합 분석용 엑셀 프로그램 무료 양식_v1.0.xlsm
0.11MB

▲  다운로드 파일 

 

해당 파일은 매크로 사용 워크시트(.xlsm) 파일이므로 처음 실행 시,

콘텐츠 사용 버튼을 눌러야 매크로가 정상 동작합니다.

 

 

 

 

 

728x90
728x90

많은 분들이 다운 받아주시고 감사 인사에 힘입어 드디어 1.1 버전이 나왔습니다^^

https://soul-rests.tistory.com/89

 

2025년 평생 무료 만년 엑셀 개인 일정 관리 달력 스케줄러_v1.1

이전 버전(v1.0) 달력 스케줄러 바로가기https://soul-rests.tistory.com/80 2025년 엑셀 개인 일정 관리 달력 스케줄러_v1.0 무료 양식 배포안녕하세요. 다들 2024년 마무리를 잘 하고 계신가요? 2024년엔 개인

soul-rests.tistory.com

1.0 버전보다 많은 기능 추가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니 위의 링크를 통해 1.1버전을 다운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다들 2024년 마무리를 잘 하고 계신가요?

 

2024년엔 개인 일정 관리를 다들 어떻게 하셨나요.

 

다이어리에 적거나 달력에 표시하는 등 많은 방법을 사용하셨겠지만

 

저같은 경우엔 직장이나 집에서 컴터와 떨어져있는 시간이 별로 없어서

 

대충 엑셀로 일정표 양식을 만들어 파일을 USB에 담아 열어보며 일정을 관리하곤 했는데요..

 

블로그에 엑셀 관련 강의를 올리고 많은 분들이 방문을 해주시면서

 

방문해주시는 분들에게 직장이나 개인에게 필요한 양식을 깔끔하게 만들어서 무료로 배포하면 어떨까?하고 생각하여

 

Excel 무료 양식 카테고리를 만들었고 드디어 첫번째 파일을 업로드하게 되었습니다.

(이후에 계속 파일을 업로드 할 예정이니 즐겨찾기 꾸욱~!)

 

파일은 맨 아래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으며 스케줄러의 주요 기능 몇가지만 설명 드리겠습니다^^

 

 

엑셀 스케줄러의 메인 화면 입니다.

엑셀 2016버전에서 작성하였으며(하위 버전에선 일부 기능이 동작을 안 할 수도 있습니다..ㅠㅠ)

디스플레이 해상도 1920x1080 에서 화면이 딱 맞게 들어오도록 만들었습니다.

 

또한 해당 파일은 VBA를 사용하므로 반드시 [콘텐츠 사용] 버튼을 눌러야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주요 기능 1. 연도 설정을 통한 해당 연도 자동 날짜 변환 기능

 

해당 스케줄러는 매년 다음 해의 무료 스케줄러를 찾는 번거로움을 줄이고자

2025년 뿐 아니라 2025년 이후에도 쭉 사용이 가능 하도록 

[달력 설정] 시트의 [연도 설정]을 통해 연도를 적으면 1년치 달력으로 자동으로 바뀌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위와 같이 [달력 설정] 시트에서 연도를 2026으로 변경하면

 

달력의 날짜(1월~12월)가 2026년에 맞춰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이제 매 해 새로운 스케줄러를 찾아 다니지 마세요^^!

필요한 기능은 추후에 계속 추가 수정할 예정이오니 블로그 구독해놓으면 좋을지도...?ㅎㅎ

 

 

 주요 기능 2. 월별 표기 방법 변경 가능

 

[달력 설정]의 [월별 표기]의 현재 기본 설정인 영어 표기 뿐 아니라

내용을 수정해  타국의 표기로도 바꿀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월별 표기의 내용을 수정하면 월별 표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택한 월의 이전 달, 다음 달 달력이 작게 표기 됩니다.

 

 위쪽은 선택한 달의 이전 달(1월이면 작년 12월이 표기됩니다)

아래쪽은 선택한 달의 다음 달(12월이면 내년 1월이 표기됩니다)

다만 미니 달력에서의 공휴일 표기는 구현이 안되어있습니다.

 

 

주요 기능 3. 주요 일정에 색으로 하이라이트 표기하기

 

각 일자는 기본적으로 총 4개의 일정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각 일정은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색상 아이콘을 클릭하면 선택한 일정의 배경색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일 셀 뿐 아니라 여러개의 복수 셀도 가능하므로

일정의 일자에 맞게 셀을 선택하여 배경색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일정을 보기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X 아이콘을 클릭해 배경색을 삭제 할 수도 있습니다.

 

 

 

주요 기능 4. 공휴일을 자유롭게 설정

 

[달력 설정] 시트의 [공휴일 설정]을 통해

날짜와 휴일 표기 유무, 공휴일 내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공휴일은 모두 작성되어있으니 필요에 따라 추가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휴일을 설정을 안하고(N) 내용을 추가하면 아래 그림 처럼 표기되며,


공휴일을 설정하고(Y) 내용을 추가하면 아래 그림처럼 날짜가 붉은색으로 변합니다.

 

공휴일 편집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연도가 변해도 쭉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주요 기능 5. 해야 할 일을 체크하는 기능

 

각 월의 [Do It List] 를 통해 해야 할 일을 작성하고 일을 완료했는지 체크를 할 수 있습니다.

해야 할 일은 총 7개 작성 할 수 있으며,

옆의 체크박스를 통해 아래 사진과 같이 완료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자유롭게 메모를 적을수 있는 칸도 있습니다.

 

그 외에, 상단 버튼을 클릭해 해당 월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각 월은 노란색으로 표시 됩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파일은 '시트 보호' 및 'VBA 코드'가 잠금된 상태입니다.

사용하시다가 코드나 수식이 작성된 셀을 잘못 건들여 사용이 불가해지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어

잠금시켰지만 개인적으로 현재 사용된 시트의 수식이나 VBA코드를 공부하실 분에 한해서

댓글을 달아주시면 해제 비밀번호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개인적인 사용을 위한 수정은 가능하나..

무료로 제작해서 배포하는 만큼 절대 상업적인 이용은 삼가바랍니다ㅠㅠ

 

 

 

 

예제 파일과 주의 사항
[영혼이 쉬어가는 그늘] 2025년 개인 연간 스케줄러 무료 양식_v1.0.xlsm
0.30MB

▲ 예제 파일 

 

해당 파일은 매크로 사용 워크시트(.xlsm) 파일이므로 처음 실행 시,

콘텐츠 사용 버튼을 눌러야 매크로가 정상 동작합니다.

 

 

 

 

728x90
728x90

 

예제 보기

 

 
 

예제 설명

최소값과 최대값, 소수점 자릿수를 입력하면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랜덤 한 값을 불러온다.

오른쪽 예제와 같이 양수 뿐 아니라 음수의 랜덤값도 불러올 수 있으며 소수점을 지정 시,

지정한 소수점의 뒷자리는 '반올림'하여 표시한다.

RAND 함수는 셀 클릭, 또는 F9키를 누르면 새로 계산하여 표기되며 엑셀의 옵션에서 자동 계산을 해제하고 수동으로 변경하면 F9키를 눌러야만 새로 계산을 한다. 이는 뒤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실습

 

1. 값을 추출할 셀(B4셀)에 아래의 수식을 입력한다.

=ROUND(RAND()*(B2-B1)+B1,B3)

ROUND 함수는 입력한 수를 지정한 자릿수로 '반올림' 합니다.

예를 들어 =ROUND(5.515,2) 를 작성하면 5.515의 2 자릿수까지 표현하되,

3번째 자릿수의 값을 반올림하는 형식으로 출력됩니다.

즉, =ROUND(5.515,2)의 결과물은 "5.51"이 아닌 "5.52"로 출력되며

이는 ROUNDUP 함수와 동일합니다.

만약, 5.515의 소숫점 두 번째 자리의 값 이후는 반올림 상관없이 버리고 싶다면

ROUNDDOWN 함수를 사용하면 5.51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RAND 함수는 0과 1사이의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입니다.

즉, 0.4123123 과 같이 0과 1 사이의 난수만을 생성하므로

RAND 함수에 추가적인 계산식을 만들어 랜덤값을 만드는 게

랜덤 함수의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수식에 최대값-최소값을 하여 RAND에서 생성된 난수를 곱한 뒤,

최소값을 더하는 방식을 통해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랜덤 한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결과

 

여기서 엑셀 사용 시, 주의해야 할 문제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식을 입력하면 엑셀은 기본적으로 '실시간 자동 계산'을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아래의 간단한 예제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와 같이 =A2+B2란 수식을 C2에 작성하면

당연히 1+2=3과 같이 자동으로 계산을 해 줍니다.

즉, A2의 값을 바꾸면 아래와 같이 C2에 작성된 수식은 '실시간으로 자동 계산'이 되어 결과 값이 표시가 됩니다.

 

RAND 함수 또한 사용자가 다른 셀에 값을 입력하면 입력이 완료된 순간 다시 계산을 합니다.

 이 말은 아래와 같이 다른 셀을 더블 클릭, 혹은 값을 입력하여 엔터를 누르는 순간

 아래 그림과 같이 RAND 함수가 실시간으로 다시 계산하여 새로운 랜덤 값을 생성합니다.

 

만약 처음 수식을 입력하고 나온 값으로 고정하고 싶다면 방법은 있습니다.

위에 언급하였듯이 엑셀은 '기본적으로 자동 계산'을 하므로

엑셀의 [파일] 탭에 [옵션]에 들어가

수식 메뉴 클릭. 계산 옵션에서 '수동'으로 바꿔주면 다른 셀에 값을 입력해도 더 이상 자동 계산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와 같이 계산 옵션을 수동으로 바꾼다면

아래와 같이 해당 엑셀 파일의 모든 수식이 수동으로 변경되어

다른 함수도 F9(새로고침)을 하지 않는 한 자동 계산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다수의 수식이 들어간 엑셀 시트는 해당 옵션이 불편하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자동 계산 옵션이 '수동'이면 해당 엑셀 파일의 모든 수식이 F9키(새로고침)를 누르지 않는 한

더 이상 계산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RAND 함수를 사용할 땐 늘 이런 자동 계산 옵션을 생각하고 수식을 작성해야 합니다.

 

 

 

 

 

예제 파일과 주의 사항
지정한 두 숫자 사이의 랜덤한 값을 불러오는 함수(양수,음수,소수 모두 가능).xlsx
0.01MB

▲ 예제 파일 

 

해당 예제는 엑셀 2016 버전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엑셀 2016 버전 이하의 엑셀에선 동작이 안될 수도 있으므로 참고 바랍니다.

 

 

 

 

728x90
728x90

엑셀로 일정표를 만들다 보면 시작일과 종료일이 정해진 일정이

며칠 전인지, 오늘은 진행하는 날인지, 종료된 일정인지를 알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수식을 알려주려 한다.

해당 양식은 이전에 만든 엑셀 양식을 참고하여 만들었으니 이전의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의 게시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https://soul-rests.tistory.com/66

 

엑셀 조건부 서식 일정표에서 시작일부터 종료일을 색으로 강조하는 방법

엑셀로 일정표 등을 만들때 시작일~종료일을 보기 편하도록 해당 일자의 셀에 색을 넣어 강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해당 서식의 기본 틀은 이전에 만들었던 표를 참조하여 만들었으니 기존의

soul-rests.tistory.com

 

예제 보기

* 위 수식을 작성한 날짜(TODAY)는 '2024-11-10'이다.

 
 

예제 설명

오늘 날짜가 시작일(D열)보다 빠르면 "일정 ##일전"으로 표기되며 시작일(D열)~종료일(E열) 사이면 "진행중", 오늘이 종료일(E열)을 지났으면 "종료"로 표기함.

 


실습

 

1. F3셀에 아래의 수식을 입력한다.

 

=IF(TODAY() < D3, "일정 "&D3 - TODAY()&"일전", IF(AND(TODAY() >= D3, TODAY() <= E3), "진행중", "종료"))

TODAY() 함수는 컴퓨터에 설정된(윈도우의 오른쪽 아래 작업표시줄에 표기된 날짜) 날짜를

기준으로 '오늘 날짜(TODAY)'가 정해지기 때문에

연도 월 일이 실제 오늘을 표기하는지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AND함수는 여러 개의 조건이 모두 참(TRUE)일 때, 참(TRUE)을 반환해 줍니다.

IF문은 위와 같이 최소 3가지 이상의 조건을

(예제의 경우 디데이, 진행중, 종료 3가지의 조건이 각각 다름)

설정해야 할 때, IF문을 중첩하여 사용합니다.

 

결과

 

 

2. F3셀을 복사하여 나머지 셀에 붙여 넣기 하여 모두 적용한다.

 

결과

 

 

 

 

728x90
728x90

엑셀로 일정표 등을 만들때 시작일~종료일을 보기 편하도록 해당 일자의 셀에 색을 넣어 강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해당 서식의 기본 틀은 이전에 만들었던 표를 참조하여 만들었으니 기존의 표에 삽입된 수식을 알고싶으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soul-rests.tistory.com/51

 

[엑셀 수식] 연도, 월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한 달치 날짜,요일 표 만드는 수식

예제 보기* 위 그림은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H열~AF열을 숨기기한 상태  예제 설명'A2' 셀에 연도를, 'B2' 셀에 월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해당 연월의 한달치 날짜를 '월/일'로 표기하며 날짜 아래

soul-rests.tistory.com

 

예제 보기

*위 그림은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O열~AB열을 숨기기한 상태
 
 

예제 설명

시작일(D열)과 종료일(E열)에 날짜를 입력하면 해당 날짜에 해당하는 셀에 자동으로 색을 채워 표기한다.

위와 같이 종료일을 입력하지 않으면 색이 채워지지 않으며, 종료일이 다음달로 넘어가도 해당 월내에만 표시된다.

 


실습

 

1. F3셀을 선택 후, 상단 홈탭 - [조건부 서식] - [새 규칙]을 클릭한다.

 

 

2. 새 서식 규칙 창에서 규칙 유형을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으로 선택, 수식 입력 창에 아래의 수식을 입력하고 [서식] 버튼을 클릭. 표시할 색을 지정 후 확인 버튼을 눌러 적용한다.

=IF(AND($D3<=F$1,$E3>=F$1),TRUE,FALSE)

 

AND 함수는 여러개의 조건이 모두 참(TRUE)일때, 참(TRUE)을 반환해 줍니다.

즉, IF함수를 사용하여 시작일(D3)이 F1의 날짜와 같거나 작고

종료일(E3)이 F1의 날짜와 같거나 크면 TRUE값을 반환해 색이 채워집니다.

또한 일정표에 색으로 강조할 범위를 전부 적용해야 하기때문에 '혼합 참조' 하였습니다.

'혼합참조'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게시물을 참고 바랍니다.

https://soul-rests.tistory.com/58

 

 

3. 상위 [홈]탭의 [조건부 서식] - [규칙 관리] 를 클릭한다.

 

 

4. 규칙 관리자 창에서 위에 작성한 규칙의 적용 대상을 표시할 전체 일정 셀을 지정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위에서 언급하였지만 엑셀은 셀주소가 있는 수식을 복사, 붙여넣기하면

셀주소도 함께 이동하는 '상대 참조'를 하기 때문에 '혼합 참조'를 하여

계산할 셀 주소를 고정해야 합니다.

 

결과

 

 

 

 

 

728x90
728x90

엑셀로 여러 양식을 만들다보면 가끔 동일한 항목의 총 수량, 혹은 총 금액을 합산해야 하는 양식이 필요할 때가 있다.

그땐 SUMIF 함수를 사용해 같은 값을 찾아 그 수량을 전부 SUM 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의 간단한 예제를 통해 배워보도록 하겠다.

 

예제 보기

 

 
 

예제 설명

왼쪽 표에서 같은 품목의 수량을 모두 더해 오른쪽 표에 그 합계를 보여준다.

 


실습

 

1. 아래와 같은 예제에 합계를 보여줄 오른쪽 표의 E2 셀에 다음과 같은 수식을 입력한다.

 

=SUMIF($A$2:$A$9,D2,$B$2:$B$9)

SUMIF 함수는 조건에 맞는 데이터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로

IF함수와 SUM함수를 합쳐놓은 함수입니다.

=SUMIF(Range,Criteria,Sum_range) 에서

Range와 Sum_range의 행,열의 길이는 동일해야 합니다.

또한, 이렇게 수식을 작성할때 참조하는 대상이 표일 땐 (예제에선 왼쪽 표)

반드시 셀 주소를 절대 참조하는 게 좋습니다.

이유는 아래 게시판 참조!

https://soul-rests.tistory.com/58

 

결과

 

 

2. 작성한 E2 셀을 복사하여 나머지 셀에 붙여넣기 한다.

 

결과

 

 

 

 

728x90
728x90

엑셀을 처음 배울 때 가장 많이 헷갈리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행, 열'개념이다.

행, 열을 설명하기 전에 일단 엑셀의 가장 기본 단위인 '셀(Cell)'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셀은 수많은 격자로 이루어진 화면의 '한 칸'을 말한다.

이 셀을 이용해 표를 만들거나, 수많은 계산을 하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엑셀을 시작하면 알아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다.

 

엑셀은 기본적으로 무언가를 '계산'하기 위해 개발된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이기에

여러 개의 셀에 적은 값을 더하거나 빼는 등의 수학적인 계산을 위해서

수많은 셀을 각각 구분하기 위해 '셀 주소'라는 개념이 있다.

(두 개의 셀에 있는 값을 더하기 위해선 각각의 셀 주소를 넣어서 수식을 만들어야 한다.)

 

셀 주소는 '가로로 몇 번째의 세로로 몇 번째 칸'임을 알려주는 주소인데

일반적으로 A1, B2와 같이 열 위치+행 위치로 부여되며

(위는 A열의 첫(1) 번째 행에 있는 셀)

 

(위는 B열의 두(2) 번째에 있는 행의 셀)

 

행, 열의 개념이 헷갈린다면 아래만 기억하면 된다.

RC (가로세로이며 ROWCOLUMN이다)

그럼 위에서 '셀 주소는 가로로 몇 번째의 세로로 몇 번째 칸'이라고 했는데 가로가 열 아닌가?라고 의문이 들 수 있다.

하지만 엑셀의 행 열은 반대의 개념이며, 이렇게 생각하면 좀 쉽다.

우리가 노트에 글을 쓸 때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을 쓰듯.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로 나열된 셀'들을

 

위에서 아래로. '세로(↓)로 나열된 셀'들을 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즉,

숫자(가로로 나열된 셀)는 행(ROW)이고

영어(세로로 나열된 셀)는 열(COLUMN)이다

 

하지만 이건 내가 행열의 개념을 배울 때 외우기 쉽게 쓴 방법이지만

각자가 뭔가 의미를 부여해 쉽게 외우는 방법을 찾는 것도 좋다.

난 단순히 '행렬'과 '가로세로'가 입에 딱 감겼고 영어는 어릴 때 좋아하던 'RC카'를 생각해

행열가세RC로 외웠을 뿐. 각자의 스타일대로 외우면 행과 열의 개념을 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728x90
728x90

예제 보기

 

 
 

예제 설명

매출액이 목표 매출의 달성률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래프가 채워진다.

 


실습

 

1. 달성률에 해당하는 D열의 수식을 작성한다

위의 예시는 '매출액/목표 매출'로 수식을 작성했습니다.

해당 예제는 계산된 값(달성률)이 '100%'이면 '1'로 값이 나오도록 만들었으며

셀 서식을 백분율 스타일로 변경시, 엑셀에서는 '1'이 '100%'로 변환이 되는 구조입니다.

 

결과

 

 

2. 달성률이 계산된 셀(예제에선 D2:D4셀)을 선택. 상단 홈 탭의 표시 형식에서 백분율 스타일로 변환하거나, 오른쪽 마우스 클릭-[셀 서식]에서 표시 형식을 백분율로 변경한다.

엑셀의 백분율은 100=100%가 아닙니다.

셀 서식의 설명에 나오듯 셀 값에 '100을 곱한 값(1->100%)'이 백분율 기호와 함께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백분율로 보여주길 원하는 수식의 결과 값은

'100%일때 반드시 1의 값이 나오도록 작성'해야 합니다.

 

결과

 

 

3. 달성률이 계산된 셀(예제에선 D2:D4셀)을 선택.  상단 메뉴 [홈] 탭의 [조건부 서식]-[새 규칙]을 클릭한다.

 

여기서 데이터 막대, 색조, 아이콘 집합 메뉴를 통해

이번 예시의 바로 채워지는 그래프나 각종 아이콘, 그라데이션으로 표시 할 수 있습니다.

적용 후 규칙 관리를 통해 자세한 설정을 바꿀 수 있으므로

자신이 표시하고자 하는 그래픽 혹은 아이콘이 있다면

두려워 말고 이것 저것 시도해서 원하는 것으로 적용해봐도 좋습니다.

이번 예제는 조건부 서식의 '설정'을 알아보기 위해 새 규칙으로 적용하는 점. 참고바랍니다.

 

 

4. 새 서식 규칙 창에서 규칙 유형을 [셀 값을 기준으로 모든 셀의 서식 지정]으로 선택, 서식 스타일을 [데이터 막대]로 변경한다. 그 후 최소값과 최대값의 종류를 [숫자]로, 값에 최소값은 0, 최대값은 1로 적용하고 원하는 막대의 색상을 설정한 뒤 확인을 누른다.

앞에서 설명했듯, 백분율은 셀 값의 100을 곱한 값이므로

최대값을 '1'로 설정해야 100%일때 꽉 찬 막대 그래프로 만들수 있습니다.

만약 200%일때 꽉차게 만들고 싶다면 최대값을 2로 설정하면 됩니다.

 

결과

 

 

 

 

 

728x90
728x90

내가 아는 엑셀 팁을 알려주고 나도 배우기 위해 네이버 지식인 엑셀 관련 질문에 답변을 해주고 있다.

근데 문제는 엑셀에 대한 아주 기초적인 지식도 없이 회계, 통계와 같은 수식이 난무하는 표를 만들려는 사람들이

질문을 하고 자신이 원하는 답변을 들은 뒤,

자신의 표에 활용하는 과정에서 자꾸 에러가 떠 반복적인 질문을 올리는 사람들이 있다.

그중에 대표적인 게 바로 이 셀 주소와 관련된 문제이다.

'알려주신 수식을 처음 적용한 셀에선 정상 동작을 하는데 그대로 다른 셀에 복사 붙여 넣기 하니 자꾸 에러가 뜨네요'

이는 엑셀의 기능인 셀 참조 특성 때문이다.

오늘은 이 상대 주소(상대 참조), 절대 주소(절대 참조), 혼합 주소(혼합 참조)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가 흔히 'A1셀', 'C4셀'이라 칭하는 각각의 칸이 가진 고유의 셀 주소가 있다.

그리고 수식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이러한 셀 주소들을 모두 '참조' 라고 한다.

셀을 참조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한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다.

상대 주소(상대 참조)

 

위와 같이 'A4' 셀에 'A1'셀을 참조하는 수식을 입력하였다.

 

결과

그럼 위와 같이 'A4'셀의 '=A1' 수식을 통해 'A1'셀을 참조해 '20'을 가져온다.

 

그렇다면 'A4'셀(수식 '=A1')을 복사해 나머지 표에 붙여 넣기 한다면?

 

결과

예상과 다르게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상식적으로 '=A1'의 수식을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 했는데 왜 나머지 셀은 정상적으로

'A1'셀 값인 '20'을 가져 오지 못했을까?

표에 복사된 수식을 보면 아래와 같다.

 

이렇게 계산하는 위치(수식이 입력된 셀)가 변하면 참조하는 셀의 위치도 자동으로 변하는 걸

'상대 주소(상대 참조)' 라고 한다.

상대 참조는 주로 '행'과 '열'단위로 복사 붙여 넣기 할 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시 1 - 수식을 행 단위로 붙여 넣기할때

 

 

 

예시 2 - 수식을 열 단위로 붙여 넣기 할 때

 

 

 

 

절대 주소(절대 참조)

 

절대 주소는 말 그대로 '절대로 변하지 않는' 주소이다.

각 셀엔 '행'과 '열'의 주소값이 있는데

행과 열 값 앞에 각각 '$'을 붙여주면 절대 참조가 된다.

 

 위와 같이 A1셀을 참조하는 행과 열 값 앞에 각각 $을 붙여 수식을 작성.

나머지 표에 'A4'셀을 복사-붙여 넣기 한다.

 

결과

그럼 상대 참조때와 다르게 표의 모든 셀에 'A1'의 값을 불러오는 걸 볼 수 있다.

위 표의 각 셀에 있는 수식을 보면 아래와 같다.

 

이렇게 계산하는 위치(수식이 입력된 셀)가 변해도 참조하는 셀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 것을

'절대 주소(절대 참조)'라고 한다.

 

예시 

 

위 그림처럼 '=A1+A3' 수식에서 A1은 $A$1으로 절대 참조가 되어

이동 복사가 되어도 A1셀 값만 고정이 된다.

이후에 여러 수식을 사용한 계산을 하게 되면 이렇게 고정해야 될 셀은 절대 참조를 시키는 게 좋다.

 

혼합 주소(혼합 참조)

 

절대 주소를 알았다면 혼합 주소는 어떤 건지 예상이 될 것이다.

바로 '행'이나 '열'만 고정시키는 게 혼합 참조이다.

행, 혹은 열 앞에만 '$'을 붙여서 사용한다.

 

 위와 같이 A1셀을 참조하는 수식의 열 값 앞에만 $을 붙여 수식을 작성.

나머지 표에 'A4'셀을 전체 복사-붙여 넣기 한다.

 

결과

그럼 이번엔 4번째 행만 A1셀 값을 불러오는 걸 볼 수 있다.

위 표의 각 셀에 있는 수식을 보면 아래와 같다.

위의 수식을 보면 A열은 이동 복사가 되어도 고정이 되어있고

고정을 시키지 않은 '행의 값'만 변경이 되는 걸 볼 수 있다.

 

이번엔 반대로 '행' 값 앞에만 '$'을 붙여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위와 같이 A1셀을 참조하는 수식의 행 값 앞에만 $을 붙여 수식을 작성.

나머지 표에 'A4'셀을 전체 복사-붙여넣기 한다.

 

결과

그럼 이번엔 A열만 A1셀 값을 불러오는 걸 볼 수 있다.

위 표의 각 셀에 있는 수식을 보면 아래와 같다.

위의 수식을 보면 1행은 이동 복사가 되어도 고정이 되어있고

고정을 시키지 않은 '열의 값'만 변경이 되는 걸 볼 수 있다.

이렇게 '열' 혹은 '행'만 고정시켜 참조하는 방법을 '혼합 참조'라고 한다.

 

 

여기까지 배운 절대 참조, 혼합 참조를 작성할 땐

수식 작성 시, 참조하는 셀 값을 작성(혹은 셀 선택) 하고 단축키 F4키를 누르면

상대 참조->절대 참조->혼합 참조(열 고정)->혼합 참조(행 고정)

의 순환으로 쉽고 빠르게 변경이 가능하다.

 

자신이 만들고 싶은 엑셀 양식을 만들 때

다양한 수식을 사용한다면 위와 같은 참조 방법들을 활용하면 쉽고 빠르게 원하는 양식을 만들 수 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