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쿠팡 플렉스 배송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당황스러운 일들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럴땐 혼자서 끙끙 앓지말고 바로 각 캠프 카톡 채널을 통해 즉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배송은 시간과의 싸움이기 때문에 혼자 해결하려다 보면 시간도 낭비하고

잘못된 판단으로인해 기프트에 문제가 생길시, 그 책임은 모두 플렉서 개인에게 있다는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 게시글은 플렉스를 도전하기 전, 혹은 배송한지 얼마 안된 플렉서가

미리 알아두면 좋은 그런 상황들에 대해 적어보려 한다.

 

1. 핀 맵 위치 오류

배송을 시작하면 대부분의 플렉서들이 어플에서 가장 많이 보는 화면이 아마 '배송 지도' 화면일 것이다.

지도에 표기된 핀 맵을 클릭하여 현재 배송 할 가구, 혹은 다음 배송 할 가구에 대한 정보를 보는데

간혹 이 핀 맵에 오류가 있을때가 있다.

예를들어 핀맵은 아파트 101동에 떠있는데 실제 고객님이 작성한 주소는 105동인 경우가 있고

또 나같은 경우엔 전혀 다른 장소에 핀 맵이 찍혀있는 경우도 있었다.

(핀 맵엔 어느 초등학교에 떠있는데 알고보니 근처 빌라였던 경우도 있었다)

그렇기때문에 핀 맵에 떠 있는 곳에 무작정 배송하지 말고 고객님이 작성한 주소와 맵에 표기된 지번,

그리고 실제 건물에 붙어있는 도로명 주소를 꼭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오배송을 예방할수 있다.

고객님이 작성한 주소와 도로명 주소를 꼭 확인하자!

특히 엘리베이터가 있는 건물이라면 대부분 엘리베이터 안에 '승강기 검사 합격 증명서'라는게 붙어 있을것이다.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는 그 시간동안 기프트에 적혀있는 주소와 증명서에 적혀있는 주소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것도 좋다.

승강기 검사 합격 증명서 소재지에 현재 주소가 적혀있다.

핀 맵 오류는 고객님이 지번, 혹은 건물 번호를 잘못 작성한 경우도 있다.

예로 고객님이 주소를 'ㅇㅇ대로 52 105동 503호'로 작성했는데 'ㅇㅇ대로 52'는 101동 쪽이고 105동은 'ㅇㅇ대로 49' 인 경우, 실제 배송해야 할 아파트는 105동 임에도 핀 맵은 101동에 떠있을 것이다.

이럴때는 핀 맵 자체가 오류를 일으킨것은 아니지만 맵에 떠 있는 동에 그대로 배송하면 오배송이 되므로

아파트의 경우 필히 '동과 호수'를 확인해야한다.

 

2.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 기프트

이 또한 간혹 발생하는데 기프트를 스캔 후 지도 화면에 보면 왼쪽 아래에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 기프트'로 뜨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높은 확률로 고객님이 주소를 잘못 작성했거나, 군사 지역 등 지도에 위치가 노출되면 안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우선 고객님이 작성한 주소를 확인해보고 정확히 작성이 되어있는지 보고(가끔 고객님이 적은 주소지에 오타가 있는 경우도 있다) 네비에 해당 주소를 찾아 배송해야 한다.

특히 군사지역의 경우 당황스러운 상황이 있었는데,

군간부들이 묵는 아파트가 핀 맵, 네비에 표기되지 않고 심지어 다른 플렉서의 팁도 없어

기프트 하나 배송하는데 20분 이상 소요되기도 했던 경우도 있었다.

이런 장소는 매니저들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 다른 플렉서의 배송 팁이 매우 중요하기도 하다.

내가 해맨 장소나 건물은 필히 다른 플렉서, 혹은 내가 다시 방문할수 있기때문에

시간을 조금 들여서라도 배송 팁을 작성하는게 좋다.

 

3. 같은 송장 번호 주의

이건 내가 배송 초기에 자주 했던 실순데..

나같은 경우에 배송지에서 기프트를 빨리 찾기 위해 쿠팡 운송장에 송장 번호를 보고 찾았다.

네모 안의 숫자가 운송장 번호 뒤 네자리 숫자

근데 간혹 이 송장 번호가 같은 기프트가 있다.

물론 고객명, 주소, 운송장 번호 앞부분은 다르지만 쿠팡 송장엔 운송장 번호의 뒤 네자리가 크게 표기되기때문에

나처럼 저 부분만 보고 기프트를 구분한다면 오배송이 날수 있으므로 저 송장 번호로 기프트를 찾더라도

고객명과 주소도 같이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플렉서의 오배송을 줄이기 위해 쿠팡 측에서도 어플에 신규 기능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다.

그 중에 배송시, 가장 큰 도움을 받는게 바로 '배송 팁' 과 '이전 플렉서의 배송 사진' 이다.

배송 팁이 적혀있다는건 과거에 다른 플렉서가 오배송을 한, 혹은 배송지에서 해맨적이 있는 장소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배송지에 배송 팁이 있다면 반드시 확인하고 배송을 하는게 좋다.

또한 이전 플렉서가 찍은 배송 사진도 배송 직전에 참고하면 오배송을 할 확률을 크게 줄여준다.

배송 완료 직전에 이전 플렉서가 찍은 사진을 보여줘 오배송 확률을 크게 줄여준다

이전 플렉서가 찍은 사진의 특징(우유 주머니,현관에 붙여놓은 장식품,현관 주변의 자전거나 킥보드 등)을 보고 

동일 장소가 맞는지 확인 후 배송하는게 좋다.

 

 

만약 오배송을 한 경우 처리 절차가 플렉서 입장에선 매우 골치 아프다.

오배송시, 내가 직접 오배송된 곳에 가서 물건을 찾아와 직접 캠프에 반납해야 한다.

문제는 오배송은 말 그대로 잘못된 배송지에 기프트를 배송한것인데..

내가 그 잘못된 배송지가 어딘지를 알 방법이 없다는것이다.

다행이 캠프 측에 요청하면 내가 배송한 그 날의 정보는 잠시 다시 살려준다.

(그 날 배송한 지도의 핀 맵, 배송 목록이 배송 완료 상태로 표시된다)

그 정보를 토대로 기억을 더듬어 동선을 따라 주변 탐색 후 기프트를 회수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배송 사진을 찍을때 아파트라면 호수가 정확히 보이게,

빌라나 일반 주택이라면 해당 가구를 알수 있는 주변 환경을 함께 찍는게 좋다.

호수라도 정확히 찍었다면 다른 동에 배송한걸 염두해 찾아볼수 있고

주변 환경을 통해 내가 배송한 동선을 따라 찾아볼수 있기 때문이다.

728x90

+ Recent posts